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 인사이트

집중투표제 의무화 핵심정리, 상법 개정안

by 덩크리너 2025. 7. 2.

더불어민주당이 추진 중인 ‘집중투표제 의무화’의 개요부터 도입 배경, 기대 효과, 글로벌 비교, 제도적 리스크까지 종합 정리합니다. 한국 자본시장 혁신의 분수령이 될 이 쟁점을 한눈에 살펴보세요.

 

“집중투표제 의무화는 한국 자본시장에 성장과 신뢰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한국 상법의 변화 흐름과 더불어민주당이 추진 중인 상법 개정안의 핵심인 ‘집중투표제 의무화’를 깊이 들여다보겠습니다.

 

기대 효과 보러가기!


1. 집중투표제란 무엇인가?

소수주주에게 힘을 실어주는 ‘몰표제도’

집중투표제는 주주가 이사 선임 시 자신이 가진 의결권을 특정 후보에게 집중적으로 행사할 수 있게 해주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한 주주가 1주를 보유하고 있고 5명의 이사를 선출한다면, 총 5표를 한 명의 후보자에게 몰아줄 수 있습니다.

이는 소액주주의 의결권 분산을 방지하고, 대주주 중심의 독점 구조에 균열을 내는 장치로 기능합니다.

 

핵심 요약

  • 1주 = 이사 수만큼의 표
  • 특정 후보에게 몰아주기 가능
  • 소수주주의 이사회 진입 통로

2. 집중투표제, 한국에서 지금까지 어떻게 운영되어왔나?

 

1998년 상법 개정으로 집중투표제가 국내에 도입됐지만, 정관으로 배제 가능하도록 하여 사실상 유명무실한 상태로 남아 있었습니다.
2020년부터는 자산 2조원 이상 상장회사에 한해 배제를 어렵게 만들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기업이 집중투표제를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사용 현황 (CGS 보고서)

  • 자산 2조 이상 기업 중 집중투표제 도입 기업 비율: 14.2%
  • KOSPI200 기업 중 실제로 집중투표제 활용된 경우: 5건 미만

이는 기업지배구조의 투명성과 소수주주 권익 보호 측면에서 매우 취약한 구조입니다.


3. 왜 지금 집중투표제를 ‘의무화’하려 하는가?


더불어민주당이 집중투표제 의무화를 추진하는 배경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한국 기업의 낮은 가치 평가 원인 중 하나가 바로 ‘불투명한 기업지배구조’입니다.
이를 개선하면 외국인 투자 유치 및 주가 상승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2) 소수주주 권익 보호

국내 상장회사의 대주주 평균 지분율은 2024년 기준 47.2%로, 경영진 견제가 어려운 구조입니다.

집중투표제는 이사 선임 과정에 소수주주 참여를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만듭니다.

 

(3) 글로벌 스탠다드 수용

OECD 및 MSCI는 소수주주 보호와 이사회 독립성을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집중투표제는 그 핵심 지표 중 하나이며, 한국의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 이사회의 다양성과 독립성 확보

  • 외부 인사나 소수주주 추천 이사의 진입 가능성 확대
  • 이사회 내부 견제 기능 강화

 

(2) 경영 투명성 제고

  • 대주주의 독단적인 인사 운영 방지
  • 주주와의 소통 강화 → 투자자 신뢰 회복

 

(3) 주주가치 상승

  • ISS, Glass Lewis 등 글로벌 의결권 자문기관은 집중투표제를 긍정 평가
  • 장기적으로 PER, PBR 개선 효과 예상

5. 그러나… ‘의무화’는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1) 경영권 불안정 가능성

  • 외부 세력의 이사회 진입으로 단기 수익 중심 운영 위험
  • 전략적 M&A나 경영권 흔들기 가능성 제기

 

(2) 일본의 교훈

  • 일본은 1950년 집중투표제 의무화 → 1974년 폐지
  • 의사결정 지연, 자금 조달 어려움 등 부작용 발생
  • 현재는 기업 자율에 맡기는 방식으로 회귀

 

(3) 제도 남용 우려

  • 공격적 펀드의 압박 수단으로 악용될 경우 기업의 중장기 전략이 흔들릴 수 있음
  • 불필요한 이사 선임 관련 소송 증가 가능성

 

(4) 일률적 적용의 위험

  • 중소 상장사까지 일괄 적용 시 비용 부담 및 조직 혼란 우려
  • 기업 규모별 유연한 적용 필요성 제기

6. 글로벌 사례와의 비교: 어디까지 참고할 것인가?

 

국가 집중 투표제 도입 여부 의무/자율 비고
미국 일부 주에서 인정됨 자율적 채택 델라웨어 등은 도입 권장
영국 도입하지 않음 - 이사회 독립성 기준 강화로 대체
일본 1950년 의무화 → 1974년 폐지 자율 기업 자율 원칙
대만 도입 및 정착 상장사 의무 지배구조 점수에 영향

 

※ 시사점: 단순한 '의무화'보다, 시장 신뢰 회복을 위한 정교한 제도 설계와 유연한 적용이 필요합니다.


7. 결론: 자본시장 혁신은 ‘신중한 개혁’에서 출발해야

 

집중투표제 의무화는 한국 자본시장에 구조적 개혁을 불러올 수 있는 중대한 제도 변화입니다.
하지만 효과적인 정책이 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보완책이 필수적입니다.

  • 기업 규모별 차등적 의무화 적용
  • 소수주주 청구 요건 최소 주식 보유 기간 명확화
  • 경영권 방어 장치 도입 (예: 스태거드 보드, 집중투표 상한제 등)
  • 정관 배제권의 일부 인정과 요건 명확화

한국 자본시장의 성장은 투명성과 신뢰 위에서만 가능합니다.
집중투표제는 그 시작점이자, 실질적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출발선입니다.

 

집중투표제 의무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