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의료비 본인부담상한제 환급 시작! 213만명이 평균 131만원 수령.
신청 방법, 소득별 상한액, 자동 지급까지 수급자 관점에서 완벽 정리.
2025년 8월 28일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시작하는 본인부담상한제 환급은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진료비가 개인별 상한액을 초과한 213만여 명이 평균 131만원씩, 총 2조 8천억 원을 돌려받게 되죠.
이번 환급은 특히 소득 하위 50%와 65세 이상 고령층에게 집중되어 있어 의료비 부담을 크게 덜어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본인부담상한제란 무엇일까요?
본인부담상한제는 1년간(1월~12월) 건강보험이 적용된 진료비에서 환자가 낸 금액이 개인별 상한액을 초과할 경우, 그 초과분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 대상 포함: 입원·외래·약값 본인부담금, 여러 병원 합산 가능
- 대상 제외: 비급여(성형, 일부 검진), 간병비, 상급병실 차액, 선택진료비, 교통비·식대
👉 병원비를 많이 쓰셨더라도 보험이 안 되는 비급여 항목은 환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5년 소득분위별 상한액 기준표
소득이 낮을수록 상한액이 낮아져 저소득층이 더 쉽게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분위 | 2025년 상한액 | 요양병원 120일 초과 시 | 직장가입자 월 보험료 |
1분위 | 89만원 | 141만원 | 57,070원 이하 |
2~3분위 | 110만원 | 178만원 | 57,070원~83,570원 |
4~5분위 | 170만원 | 240만원 | 83,570원~110,680원 |
6~7분위 | 320만원 | 396만원 | 159,250원~213,170원 |
8분위 | 437만원 | 569만원 | 213,170원~273,380원 |
9분위 | 525만원 | 684만원 | 273,380원 초과 |
10분위 | 826만원 | 1,074만원 | 최고 소득분위 |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2025년 환급 안내 자료)
환급 대상자 현황
- 소득 하위 50%: 전체 환급 대상자의 89% (190만 명), 환급액의 76.5% (2조 1,352억 원)
- 65세 이상 고령층: 대상자의 56.7% (121만 명), 환급액의 66% (1조 8,440억 원)
👉 즉, 대부분은 저소득층·고령층이 혜택을 받습니다.
환급 신청 방법: 단계별 안내
✅ 1단계: 대상 여부 확인
- 병원비로 100만원 이상 지출
- 입원/수술 경험
- 만성질환으로 꾸준히 병원 다님
- 건강보험료를 적게 내는 편
- 65세 이상 고령층
※ 위 조건 중 해당 사항이 많을수록 환급 가능성이 높습니다.
✅ 2단계: 신청 방법
① 온라인 신청 (가장 간편)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 → 민원여기요 → 환급금 조회/신청
- 계좌번호 입력 후 신청
② 모바일 앱 신청
- 'The건강보험' 앱 다운로드 → 로그인 → 환급금 신청 메뉴 → 계좌번호 입력
③ 전화 신청
- ☎ 1577-1000 (고객센터) → 본인 인증 후 신청 가능
④ 지사 방문 신청
- 신분증 지참, 신청서 작성 후 제출
- 10만원 이하 환급금은 현금 수령 가능
✅ 3단계: 자동 지급 대상자
이미 지급동의계좌 등록한 108만여 명은 별도 신청 없이 계좌로 바로 입금됩니다.
실손보험과 중복 여부
- 2009년 이후 실손보험: 본인부담상한제 환급분은 실손보험 보상에서 제외
- 구(舊) 실손보험 가입자: 일부 중복 수령 가능하나 점점 축소
👉 따라서 실손보험을 청구하기 전 반드시 환급 여부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급금 지급 일정
- 안내문 발송: 2025년 8월 28일부터 순차 발송
- 지급 시기: 신청 후 7일 이내 계좌 입금
- 자동 지급자: 8월 말~9월 초 바로 입금
신청 기한: 안내문 수령 후 3년 이내 (기한 넘기면 소멸)
※ 과거 10년간 미신청 소멸액 257억 원 발생
놓치지 말아야 할 꿀팁
- 지급동의계좌 등록: 앞으로 환급금이 생길 때 자동 입금 → 부모님 계좌도 등록 가능
- 신청 기한 엄수: 3년 이내 신청, 늦으면 환급 못 받음
- 타인 명의 계좌 신청: 위임장·가족관계증명서 필요
마무리
이번 본인부담상한제 환급은 의료비 부담 완화와 가계 안정을 위한 중요한 제도적 지원입니다.
특히 소득 하위 계층과 고령층이 가장 많은 혜택을 받게 되어 의료 안전망으로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죠.
병원비 지출이 많으셨던 분이라면, 꼭 환급 여부를 확인하시고 간단히 신청해 소중한 환급금을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절약·절세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율 대폭 상향, 9월부터 최대 20% (0) | 2025.09.03 |
---|---|
새출발기금 2025, 소상공인/자영업자 빚 최대 90% 감면! (4) | 2025.09.02 |
근로장려금 2025년 최대 330만 원, 신청 기한 임박! (1) | 2025.09.02 |
2025년 65세 이상 어르신 통신비 14만원 절약 팁! (4) | 2025.09.01 |
상생페이백, 2025년 카드 소비로 최대 30만 원 환급 받는 7가지 팁 (2) | 2025.08.21 |
1등급 친환경 가전으로 현금 30만원 환급 받으세요! (6) | 2025.08.04 |
7~8월 전기요금 누진세 완화! 월 18,120원 절약하는 방법 (5) | 2025.07.30 |
2025년 8월 가족간계좌이체 시, 6가지 세금폭탄 위험 패턴 (2) | 2025.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