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최신 출산휴가·육아휴직 정책 총정리

by 지식디렉터K 2025. 3. 6.
반응형

최근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제도가 크게 개선되어,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배우자 출산휴가

2025년 2월 23일부터 배우자 출산휴가가 다음과 같이 확대되었습니다.

  • 휴가 기간 연장: 기존 10일에서 20일로 늘어났습니다.
  • 사용 기한 연장: 출산일로부터 90일 이내 사용해야 했던 것이 120일 이내로 확대되었습니다.
  • 분할 사용 횟수 증가: 1회 분할 사용에서 최대 3회 분할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변경으로 근로자는 출산한 배우자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육아휴직

육아휴직 제도도 다음과 같이 개선되었습니다:

  • 육아휴직 기간 연장: 부모 각각 최대 1년에서 1년 6개월로 연장되어, 맞벌이 부부는 합산하여 최대 3년까지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육아휴직 급여 인상: 2025년 1월 1일부터 육아휴직 급여가 다음과 같이 인상되었습니다:
  • 1~3개월차: 월 최대 250만 원
  • 4~6개월차: 월 최대 200만 원
  • 7개월차 이후: 월 최대 160만 원

또한, 기존에는 급여의 일부를 복직 후 지급하던 사후지급금 제도가 폐지되어, 육아휴직 기간 중 전액 지급됩니다.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자녀의 나이가 만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에서 만 12세 또는 초등학교 6학년 이하로 확대되어, 더 많은 부모가 근로시간 단축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난임치료휴가

난임치료휴가 기간이 연간 3일에서 6일로 늘어났으며, 유급휴가일도 1일에서 2일로 확대되었습니다. 

 

■ 임신 초기 유산·사산 휴가

임신 초기 유산·사산 휴가가 기존 5일에서 10일로 확대되어, 임신 중 어려움을 겪는 여성 근로자에게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제도 개선은 근로자들이 일과 가정의 균형을 유지하며, 출산과 육아를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의 일환입니다. 각 제도의 세부 사항과 신청 절차는 고용노동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