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VA의 2025년 3분기 최신 실적과 마이크로칩과의 초대형 NeuPro NPU 라이선스 계약을 심층 분석합니다.
CEVA의 주가 전망과 스마트 엣지 AI 투자 포인트를 확인하세요.
오늘 우리는 '스마트 엣지(Smart Edge)'라는 거대한 흐름의 중심에 있는 기업, CEVA(나스닥: CEVA)에 대해 깊이 파고들어 보겠습니다.
최근 CEVA는 시장의 모든 이목을 집중시킨 초대형 계약을 발표했습니다. 바로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Microchip)와의 장기 포트폴리오 라이선스 계약이죠. 이 소식이 단순한 호재를 넘어 CEVA의 체질을 바꿀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을지, 투자자의 관점에서 냉철하게 분석해 보겠습니다.
1. 'CEVA', 대체 어떤 기업인가?
CEVA는 스스로 제품을 만들지 않습니다. 대신, '지적 재산(IP)' 즉, 반도체 설계도를 만들어 퀄컴, 삼성, 마이크로칩 같은 거대 칩 제조사들에게 라이선스를 판매하고 로열티를 받는 기업입니다. 비유하자면, 베스트셀러가 될 책(칩)의 원고(IP)를 쓰는 작가 집단이죠.
CEVA의 사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라이선스 (Licensing): 설계도를 판매하는 '선수금'입니다. 계약 시점에 큰돈이 들어오며, CEVA의 기술력이 시장에서 얼마나 인정받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로열티 (Royalty): 고객사가 CEVA의 IP를 탑재한 칩을 '판매할 때마다' 받는 '인세'입니다. 이것이 CEVA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만듭니다.
이들은 AI(NeuPro NPU), 연결성(Wi-Fi, 5G, IoT), 센싱 기술이라는 스마트 엣지 시대의 3대 핵심 기술 IP를 모두 보유한, 기술력 하나는 정말 탄탄한 '숨은 강자'입니다.
2. '초대형' 호재! 마이크로칩(Microchip)과의 계약, 왜 중요한가?
지난 2025년 11월 5일, CEVA는 마이크로칩(NASDAQ: MCHP)과 자사의 NeuPro NPU(신경망 처리 장치) 제품군 전체에 대한 장기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게 왜 그렇게 중요하냐고요? 3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① 시장의 거물에게 인정받은 AI 기술력: 마이크로칩은 산업, 데이터센터, 자동차 등 거의 모든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MCU(마이크로컨트롤러)와 반도체를 공급하는 '거인'입니다. 이 거인이 자신의 수많은 제품에 탑재할 AI 두뇌로 CEVA의 NeuPro를 '낙점'한 것입니다. 이는 CEVA의 AI 기술력이 업계 최고 수준임을 공인받은 셈입니다.
- ② '수십억 개' 디바이스로의 확장: 마이크로칩은 "수십억 대의 디바이스에 AI를 기본 기능으로 내재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즉, CEVA의 IP가 앞으로 마이크로칩을 통해 상상하기 어려운 규모로 시장에 깔릴 수 있다는 뜻입니다.
- ③ 사업 다각화 (탈(脫)모바일): 그동안 CEVA의 로열티는 스마트폰 시장 경기에 크게 좌우되는 약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계약으로 컴퓨팅, 통신, 보안, 산업, 자동차 등 훨씬 더 광범위하고 안정적인 시장으로 AI IP 매출을 다각화할 수 있는 강력한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이 계약은 당장의 매출보다는, CEVA의 장기적인 로열티 수익 기반을 완전히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미래를 향한 투자'로 해석해야 합니다.
3. 2025년 3분기 실적, 드디어 바닥을 다졌나?
아무리 호재가 터져도, 결국 투자는 '숫자'로 말해야 합니다. 마침 2025년 11월 10일, CEVA의 3분기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예상보다 선방하며 바닥을 다지는 모습"입니다.
CEVA 2025년 3분기 실적 요약 (VS 2024년 3분기)
| 항목 | 2025년 3분기 실적 | 2024년 3분기 실적 | 전년 동기 대비 | 시장 예상치 |
| 총 매출 | $28.4 백만 | $27.2 백만 | $27.2 백만 | $28.0M~$28.38M |
| 라이선스 매출 | $16.0 백만 | $15.6 백만 | +2.6% | - |
| 로열티 매출 | $12.4 백만 | $11.6 백만 | +6.9% | - |
| 비일반회계기준 EPS | $0.11 | $0.14 | -21.4% | $0.10~$0.14 |
(출처: CEVA, Inc. 2025년 3분기 실적 발표 자료, Investing.com 등)
실적 심층 분석
- 매출은 예상을 상회했습니다. 총매출 2840만 달러로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었습니다. 이는 11%의 순차적(QoQ) 성장이기도 합니다.
- 라이선스 매출은 여전히 견조합니다. 6분기 연속 1500만 달러 이상을 기록하며, 특히 AI 프로세서 라이선싱이 이 중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AI 부문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가장 중요한 '로열티'가 회복 중입니다. 로열티 매출은 전분기 대비 16%나 성장했습니다. 이는 기록적인 무선 IoT(Wi-Fi 6, Cellular IoT) 출하량과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모바일 시장 회복 덕분입니다.
- EPS는 엇갈렸습니다. Non-GAAP EPS 0.11달러는 일부 애널리스트 예상치($0.14)는 하회했지만, Zacks 등 다른 예상치($0.10)는 상회하며 회사 내부 기대치를 넘어섰다고 합니다.
4. CEVA 주가 현황, 투자자들의 속마음은?
실적 발표와 마이크로칩 계약이라는 빅 이벤트가 터진 후, CEVA의 주가(NASDAQ: CEVA)는 최근 25달러 내외에서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실적 발표 직후 주가는 긍정적인 신호(견조한 라이선스, 로열티 회복)에 반응해 프리마켓에서 상승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다소 엇갈린 EPS 결과와 거시 경제의 불확실성이 맞물리며 현재는 시장이 이 거대한 호재의 '가치'를 소화하는 과정을 거치는 중입니다.
투자자들은 지금 단기적인 수익성(EPS)과 장기적인 성장성(마이크로칩 계약) 사이에서 저울질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5. 2026년 CEVA 실적 및 주가 전망 (단기 vs 장기)
그렇다면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전망은 이렇습니다.
단기 전망 (3~6개월)
회사는 4분기 매출 가이던스로 2,900만 달러에서 3,300만 달러를 제시했습니다. 이는 3분기보다 더 성장한 수치입니다. 단기적으로는 3분기에 확인된 로열티 회복세가 4분기에도 이어지는지가 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장기 전망 (1~3년)
"매우 밝음"입니다. 이번 마이크로칩과의 계약은 2026년,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로열티 매출에 기여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이는 CEVA의 로열티 기반을 기존의 모바일 중심에서 '산업 + 자동차 + 데이터센터'라는 훨씬 더 크고 안정적인 시장으로 확장시킵니다.
'스마트 엣지'와 '온디바이스 AI'가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인 한, CEVA의 IP 수요는 구조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애널리스트 의견
시장의 전문가들도 장기 전망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 Roth/MKM: CEVA의 AI 성장성을 이유로 목표 주가를 기존 30달러에서 35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 Rosenblatt: '매수' 등급을 유지하며 목표 주가 40달러를 제시했습니다.
- Zacks/eToro (컨센서스): 전반적으로 '강력 매수(Strong Buy)' 의견이 우세하며, 평균 목표 주가는 약 35~37달러 선에서 형성되고 있습니다.
6. 결론: CEVA, 지금이라도 사야 할까? (투자 요약)
자, 그래서 결론입니다. CEVA, 지금 사도 될까요? CEVA는 '단기 트레이딩'이 아닌 '장기적인 인내'가 필요한 주식입니다.
- 투자 위험 (Risk): 로열티 수익은 여전히 거시 경제와 소비자 가전 시장의 순환 주기에 영향을 받습니다. EPS가 당장 폭발적으로 증가하진 않을 수 있습니다.
- 투자 기회 (Reward): 하지만 이번 '마이크로칩' 계약은 CEVA의 기업 가치 자체를 한 단계 레벨업시킬 수 있는, 10년에 한 번 올까 말까 한 '터닝포인트'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3개월, 6개월 뒤의 주가만 보고 투자하신다면 다른 주식을 알아보시는 편이 좋습니다. 하지만 3년, 5년 뒤 '스마트 엣지 AI' 시대가 만개했을 때, 수십억 개의 기기에서 로열티를 쓸어 담을 CEVA의 미래를 보고 투자하신다면, 현재의 주가 수준은 매우 매력적인 진입 구간이 될 수 있습니다.
묵묵히 기술을 갈고닦아 온 '작가(CEVA)'가 드디어 '초대형 출판사(Microchip)'와 평생 계약을 맺은 것과 같습니다.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그 잠재력은 그 어느 때보다 확실해 보입니다.
넷플릭스 10대 1 액면분할 이후 주가 전망, 4가지 핵심 포인트 정리
2025년 11월, 넷플릭스가 10대 1 액면분할을 단행합니다.액면분할의 진짜 의미와 3분기 실적, 광고 사업, 향후 주가 전망까지! 투자 결정에 필요한 핵심 정보를 확인하세요. 2025년 11월 13일, 시장의
search-find.kr
AST스페이스모바일 2026년 주가 전망, 10억 달러 계약 시나리오
AST 스페이스모바일(ASTS) 2026년 주가 전망.10억 달러 계약과 위성 발사 모멘텀, 3대 리스크, 그리고 삼성전자, 인텔리안테크 등 국내 수혜주까지 총정리. 오늘은 '하늘의 기지국'이라는 혁신적인 개
search-find.kr
2026년 삼성전자 목표주가 최소 15만원, 8가지 필수 투자 전략
2026년 삼성전자가 AI 반도체 슈퍼사이클로 사상 최대 실적(영업이익 82조원)을 달성할 전망입니다.HBM 시장 진입, 2나노 파운드리, AI 신사업 전략 및 목표주가 15만원을 분석합니다. 안녕하세요. 30
search-find.kr
'경제·금융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넷플릭스 10대 1 액면분할 이후 주가 전망, 4가지 핵심 포인트 정리 (1) | 2025.11.13 |
|---|---|
| AST스페이스모바일 2026년 주가 전망, 10억 달러 계약 시나리오 (0) | 2025.11.11 |
| 2026년 삼성전자 목표주가 최소 15만원, 8가지 필수 투자 전략 (0) | 2025.11.11 |
| 2026년 대비 신재생에너지 수혜주 7개 기업과 포트폴리오 전략 (0) | 2025.11.10 |
| LG이노텍 주가 6개월 81% 급등, 30만 원 가능한 5가지 이유 (0) | 2025.11.08 |
| 씨에스윈드 주가 71% 상승 여력, 2025년 3분기 실적 쇼크 분석과 2026년 전망 (1) | 2025.11.07 |
| 728조 원 예산으로 본 2026년 AI 대전환 5대 핵심 산업 (0) | 2025.11.05 |
| 코스피 4200 돌파, PBR 1.30배에서 투자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3가지 (1) | 2025.11.03 |
